채근담(菜根譚) - 76. 지나치게 맑은 물_전집 76장
지지예자(地之穢者) 다생물(多生物) 수지청자(水之淸者) 상무어(常無魚).
고군자(故君子) 당존함구납오지량(當存含垢納汚之量) 불가지호결독행지조(不可持好潔獨行之操).
땅이 더러운 곳에는 초목이 무성해지고, 물이 너무 맑으면 고기가 없다. 그러므로 군자는 때 묻고 더러운 것이더라도 받아들이는 아량을 가져야 하고 깨끗한 것만 즐기면 혼자서만 행하려는 절조는 갖지 말아야 한다.
* 핵심 주제
흔히 ‘완전한 인간은 하나도 없다’고 말한다. 완전무결한 인간이 없다면 누가 누구를 나무라며 돌을 던질 수 있겠는가. 그러나 세상 사람들은 서로 상대방을 평할 때 자기 기준으로 평함으로써 오해를 불러일으키는 일이 허다하다.
어떤 면에서는 다소 결점이 있는 사람이 다른 면에서는 엄청난 능력을 발휘하는 경우도 있고, 어떤 면에서는 장점을 가지고 있는 사람이 다른 면에서는 놀랄 만큼 인간 이하의 행동을 하는 자도 있다. 명실상부한 지도자라면 누구나 포용해서 선도하는 아량이 있어야 한다는 교훈이다.
- 채근담, 홍자성 저, 안길환 편역, 고전산책
'전형구 교수의 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채근담 78. 무욕의 마음 (0) | 2019.07.30 |
---|---|
채근담 77. 마음의 병 (0) | 2019.07.28 |
채근담 75. 비운 마음과 가득찬 마음 (0) | 2019.07.26 |
채근담 74. 영원한 행복 (0) | 2019.07.25 |
채근담 73. 욕망의 가시덤불 (0) | 2019.07.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