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근담(菜根譚) 22. 흔들리는 등불과 재의 불씨_전집 22장
호동자(好動者) 운전풍등(雲電風燈) 기적자(嗜寂者) 사회고목(死灰槁木).
수정운지수중(須定雲止水中) 유연비어약기상(有鳶飛魚躍氣象) 재시유도적심체(是有道的心體).
움직임을 좋아하는 사람은 구름 속의 번개와 같고 바람 앞의 등불과 같다. 고요함을 즐기는 사람은 식은 재와 같고 마른 나무와 같다. 사함에게는 모름지기 멈춘 구름과 잔잔한 물 위에 솔개가 날고 물고기가 뛰는 기상이 있을 때 비로소 도를 체득한 심체(心體)라 할 수 있다.
* 핵심 주제
무턱대고 돌아다니기만 하면 마치 구름 속의 번개와 같고 바람 앞에 놓인 등불과 같아서 침착성과 안정감이 없다. 그렇다고 해서 정적만 좋아한다면 차디차게 식은 재와 같고 말라 버린 고목과 같아서 생기를 잃고 만다.
우리 인생에는 언제나 정(靜)과 동(動)의 순환이 있다 이 순환 관계를 잘 이용하는 사람은 지칠 줄 모르며 인생을 실속 있게 살아가게 된다. 활동을 열심히 하고 있는 동안에도 마음의 여유를 잃지 말고 휴식을 하는 동안에는 다음에 활동할 일에 대비하는 마음가짐이 중요하다.
- 채근담, 홍자성 저, 안길환 편역, 고전산책
'전형구 교수의 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채근담 25. 객기 (0) | 2019.05.29 |
---|---|
채근담 24. 깨끗함과 더러움 (0) | 2019.05.28 |
채근담 21. 집안의 부처와 참된 도인 (0) | 2019.05.25 |
채근담 20. 마음의 여유 (0) | 2019.05.24 |
채근담 19. 명예와 부끄러움 (2) | 2019.05.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