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관지화(越官之禍) - 《韓非子》
“모자 담당 관리의 월권”
조직의 시스템을 어기고 자신의 임무를 넘어 남의 업무까지 기웃거리다가 결국 조직의 원칙이 무너져 생존에 실패하는 예는 많습니다. 《한비자》는 이런 재앙을 월관지화(越官之禍)라고 했습니다. 자신의 업무를 벗어난 조직의 재앙이라는 뜻입니다.
춘추전국시대 韓나라에 소후라는 임금이 있었습니다. 어느 날 임금님의 모자를 담당하는 관리인 전관이 술에 취하여 옷도 제대로 갖추지 못한 채 잠든 왕을 보게 되었습니다. 전관은 추위에 왕의 몸이 상할까 걱정이 되어 임금의 옷을 찾아 덮어주었습니다. 다음 날 술에서 깨어 일어난 왕은 자신이 분명히 만취해서 옷도 입지 않고 잠들었는데, 옷이 덮여 있음을 기쁘게 생각하여 좌우 신하들에게 누가 이 옷을 덮어주었냐고 물었습니다. 이에 신하들은 모자 전관이 왕께서 추울까 염려하여 덮어드렸다고 보고하였습니다.
이 말을 들은 왕은 잠시 생각하고는 모자 담당 관리인 전관과 옷 담당 관리인 전의를 모두 불러오라고 하였습니다. 전의는 자신의 책무를 저버렸다고 두려움에 떨었고, 전관은 자신이 한 일에 대하여 기쁜 마음으로 왕에게 나아갔습니다. 그러나 뜻밖에도 왕은 전의와 전관 모두를 벌주라고 명령하였습니다. 모두들 의아했는데 임금의 논리는 이러했습니다.
전의는 임금의 옷을 맡아 담당하는 관리로서 자신의 임무를 소홀히 했기 때문에 당연히 벌을 준 것이고, 전관은 자신의 임무를 벗어나서 월권했기 때문에 벌을 준 것이지요. 왕은 신하들이 각자 담당한 고유 임무를 저버리고 다른 일에 간섭함으로서 생기는 폐해가 자신이 추위에 감기 드는 것보다 더 크다고 생각했던 것입니다.
원관지화 심어한(越官之禍 甚於寒) : 월관의 피해가 추위보다 더욱 심하다.
법과 시스템을 숭상한 한비자는 이 이야기를 마치면서 이렇게 덧붙입니다. “현명한 지도자라면 신하들을 다스릴 때 신하가 자신의 고유 임무를 벗어나 다른 사람의 임무로 공을 세우게 하지 않는다. 만약 자신의 임무를 벗어나서 월관(越官)하면 벌을 주어야 한다.”
“남의 업무에 기웃거리지 맙시다.”
- 박재희의 <3분 고전_인생의 내공이 쌓이는 시간; 변화와 혁신>, 김영사
'전형구 교수의 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궁즉통(窮則通) - 《周易》 (0) | 2025.05.07 |
---|---|
혁구습(革舊習) - 《격몽요결(擊蒙要訣)》 (0) | 2025.05.02 |
교토삼굴(狡免三窟) - 《史記》 (0) | 2025.04.30 |
동시효빈(東施效嚬) - 《莊子》 (0) | 2025.04.29 |
오십보백보(五十步百步) - 《孟子》 (0) | 2025.04.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