맹구지환(猛狗之患) - 『한비자(韓非子)』
“술집에 손님이 없는 이유”
유능한 인재를 불러 모으는 것이야말로 예나 지금이나 조직의 지도자가 해야 할 중요한 역할입니다. 그런데 주군이 인재를 그토록 아끼는데도 인재가 선뜻 찾아오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한비자는 그 이유를 다음과 같은 고사를 들어 설명하고 있습니다.
송나라 기절 술을 만들어 파는 사람이 있었습니다. 주인은 정말 친절하고 술도 넉넉히 주었는데 언제부터인가 손님이 점점 줄어들더니 급기야 술이 팔리지 않아 모두 쉬어버리고 말았습니다. 결국 손님의 발길이 끊겨 문을 닫게 되자 주인은 그 동네에서 가장 지혜로운 어른에게 이유를 물었습니다.
그 어른은 이렇게 대답하였습니다. “너희 집 개가 사나워서 그런 것이다. 너희 집에 손님이 오면 사나운 개가 그토록 짖어대고, 심지어 어린아이가 부모의 심부름으로 술을 사러 오면 개가 물어뜯으며 위협하니 어느 누구도 너희 집에 술 사러 가지 않는 것이 당연하지 않겠는가? 아무리 술이 맛있어도 사나운 개가 있는 한 손님이 안 드는 것이 당연한 이치니라.”
한비자는 이 이야기를 꺼내면서 나라에도 사나운 개가 있다고 합니다. 아무리 인재를 아끼는 훌륭한 군주가 있더라도 주변에 그 인재를 받아들이고 아껴줄 신하가 없다면 결국 인재는 찾아오지 않게 된다는 것이지요. 훌륭한 인재가 찾아왔는데 주변의 대신들이 사나운 개가 되어 이리저리 그 사람을 헐뜯으며 참소하니 인재들은 모두 떠나고 그 나라에는 결국 진정한 인재가 찾아오지 않게 된다는 경고입니다다.
구맹즉인외(狗猛則人畏) : 개가 사나우면 사람들이 두려워한다.
순자(筍子)의 말 중에도 이런 유사한 말이 있습니다. “선비에게 질투하는 친구가 있으면 주변에 좋은 친구가 모여들지 않는다. 군주에게도 질투하는 신하가 있으면, 그 주변에 뛰어난 인재들이 모여들지 않는다.” 여기서 질투 많은 벗인 투우(妬友)와 질투 많은 신하인 투신(妬臣)은 한비자애서 말한 사나운 개, 맹구(猛狗)와 같습니다. 사나운 개 한 마리를 조직에 둠으로써 인재가 모여드는 것을 막는 우를 범해서는 안 될 것입니다.
“혹시 내가 사나운 개가 되어 다른 사람을 향해 짖고 있는 것은 아닌지 생각해봅니다.”
- 박재희의 <3분 고전_인생의 내공이 쌓이는 시간; 변화와 혁신>, 김영사
'전형구 교수의 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불균수지약(不龜手之藥) - 『장자(莊子)』 (0) | 2025.04.03 |
---|---|
정저지와(井底之蛙) - 『장자(莊子)』 (0) | 2025.04.02 |
덕미이위존(德微而位尊) - 『주역(周易)』 (0) | 2025.03.28 |
전승불복(戰勝不復) - 『손자병법(孫子兵法)』 (0) | 2025.03.27 |
어부사(漁父辭) - 『굴원(屈原)』 (0) | 2025.03.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