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의 칼끝 12. 의금상경(衣錦尙絅) : 비단 옷을 입고는 덧옷으로 가린다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열린 고려불화대전의 감동이 오래도록 가시질 않는다. 일본 후도인(不動院) 소장의 비로자나불도 상단에는 '만오천불(萬五千佛)'이란 글씨가 적혀 있다. 조명이 어두워 몰랐더니, 집에 와 도록을 살펴보곤 뒤늦게 놀랐다. 세상에! 화면 전체에, 심지어 부처님의 옷 무늬에까지 빼곡하게 1만 5천의 부처님이 어김없이 그려져 있었다. 한 폭 그림에 쏟은 정성이 무섭도록 놀라웠다.
그림을 보다가 문득 『중용』 33장에 나오는 "비단옷을 입고 엷은 홑옷을 덧입는다(衣錦尙絅)"는 말이 떠올랐다. 비단옷 위에 홑겹의 경의(絅衣)를 덧입는 것은 화려한 문채가 겉으로 드러나는 것을 가려주기 위해서다. 화려한 옷을 드러내지 않고 왜 가리는가? 그 대답은 이렇다. "그런 까닭에 군자의 도는 은은해도 날로 빛나고, 소인의 도는 선명하나 나날이 시들해진다." 가려줘야 싫증나지 않고, 덮어줄 때 더 드러난다.
『시경』에도 이렇게 노래했다.
비단 저고리 입고는 엷은 덧저고리를 입고, 비단 치마를 입으면 엷은 덧치마를 입는다네(衣錦褧衣, 裳錦褧裳).
물속에 잠겼으나, 또한 또렷이 드러난다(潛雖伏矣, 亦孔之昭).
표현은 달라도 담긴 뜻은 같다.
진정한 아름다움은 안으로부터 비쳐 나온다. 한눈에 어지러운 화려함은 잠시 눈을 끌 수는 있어도 오래가지는 못한다. 천연 안료를 여러 차례 묽게 덧칠해서 빚어낸 잠착한 색상 위에 금니로 화려한 문양을 얹고, 이를 다시 사라의로 살짝 가려준 수월관음도! 삶의 가장 절정의 순간도 어쩌면 이런 인내와 환희, 그리고 절제 속에 빛나는 것인 줄을 짐작하겠다.
- 달아난 마음을 되돌리는 고전의 바늘 끝_『일침(一針)』, 정민, 김영사
'전형구 교수의 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부의 칼끝 14. 발초첨풍 (0) | 2019.02.14 |
---|---|
공부의 칼끝 13. 문심혜두 (0) | 2019.02.13 |
공부의 칼끝 11. 평생출처 (0) | 2019.02.10 |
공부의 칼끝 10. 파초신심 (0) | 2019.02.09 |
공부의 칼끝 9. 독서망양 (0) | 2019.02.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