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근담(菜根譚) 42. 군자의 덕과 절개_전집 42장
피부아인(彼富我仁) 피작아의(彼爵我義). 군자고불위군상소뇌롱(君子固不爲君相所牢籠).
인정승천(人定勝天) 지일동기(志一動氣). 군자역불변조물지도주(君子亦不變造物之陶鑄).
상대가 부(富)로 대하면 나는 인仁이라는 덕으로 대할 것이며 , 상대가 벼슬로써 대하면 나는 의(義)라는 절개로 대할 것이다. 군자는 본래 임금이나 정승이라고 해서 그들에게 농락당하지 않는다. 사람의 힘이 굳으면 하늘도 이길 수 있고, 뜻을 하나로 모으면 기질도 변화시킬 수 있으니 군자는 또한 틀 속에 넣고 마음대로 주물러도 변하지 않는다.
* 핵심 주제
우리가 상대방에 대해 패배의식, 열등감 등을 가지는 것은 그 상대방과 똑같은 잣대로 자기 자신을 재기 때문이다. 부자 앞에서 비열해지는 것은 그 부자에겐 은택을 입어 볼까 하는 마음이 있기 때문이며, 권력자에게 아부하는 것은 그의 힘을 이용하여 출세해 보겠다는 마음이 있기 때문이다.
그들과 똑같은 가치관을 가지고 맞선다면 어차피 승산은 없는 것이니 그들의 앞잡이가 될 수밖에 없지 않겠는가. 올바른 인생관과 가치관을 정립하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일깨워 주는 구절이다.
- 채근담, 홍자성 저, 안길환 편역, 고전산책
'전형구 교수의 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채근감 44. 세상의 평판에 얽매이지 말랄 (0) | 2019.06.20 |
---|---|
채근담 43. 남보다 노력하는 삶 (0) | 2019.06.19 |
채근담 41. 일의 처리 (0) | 2019.06.16 |
채근담 40. 도리에서 물러서지 않기 (0) | 2019.06.15 |
채근담 39. 사악한 사람 (0) | 2019.06.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