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장 가족에 대한 책임감을 키운다_인덕과 공경은 대상을 가려야 한다
군자지어물야(君子之於物也), 애지이불인(愛之而弗仁).
어민야(於民也), 인지이불친(仁之而弗親).
군자가 물건을 대하는 것은 아끼는 것이지, 어진 것이 아니다. 백성에게는 인을 베풀지만 모두 친하게 대하는 것은 아니다. - <진심장구(盡心章句)> 상편 중에서
아름다운 도덕적 감정은 자체적으로 구체성, 표적성, 규정성, 분별성을 가지고 있다.
인과 덕은 사람 사이에 오가는 특별한 감정이고, 사물을 상대로 언급할 수 없다. 문학 작품에서는 의인의 수법으로 만물에 대한 사랑을 표현하지만, 이것은 당연히 또 다른 상황에 해당한다.
공경은 가족, 특히 부모를 향한 감정이기 때문에 남용해서는 안 된다. 다른 사람에게는 여전히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고 한계를 두어야 하며, 공적인 일은 공적으로 처리하는 원칙이 있어야 한다.
- 왕멍, <나를 바로 세우는 하루 한 문장_맹자>, 정민 미디어
'전형구 교수의 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9장 가족에 대한 책임감을 키운다_가까운 곳에서부터 시작된다 (0) | 2021.11.03 |
---|---|
9장 가족에 대한 책임감을 키운다_정도를 걷지 않으면 고립무원에 빠진다 (0) | 2021.11.02 |
9장 가족에 대한 책임감을 키운다_자신을 지키는 것은 가장 큰 효다 (0) | 2021.10.30 |
9장 가족에 대한 책임감을 키운다_선심을 전하고 정성을 다하라 (0) | 2021.10.29 |
9장 가족에 대한 책임감을 키운다_무의미한 위험에 접근하지 말라 (0) | 2021.10.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