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산불사토양(太山不讓土壤) - 『사기(史記)』
“태산은 한 줌의 흙을 사양하지않는다”
능력이 있다면 출신과 성분을 따지지 않고 중요한 직책을 맡기는 것은 당연한 일입니다. 그러나 실제 조직의 인사는 결코 능력만 보지 않습니다. 출신과 지역 등 다양한 요소를 고려하다 보면 적재적소에 인재를 배치하는 것은 불가능해지고, 결국 조직의 경쟁력은 약화될 수밖에 없습니다.
춘추전국시대 진나라가 마지막 통일의 주역이 된 것은 우연이 아니었습니다. 목공, 효공, 혜제, 소제, 진시황제로 이어지는 다섯 명의 군왕은 모두 진나라를 천하통일의 주역으로 만든 최고의 지도자였습니다. 이들은 출신과 성분을 따지지 않고 뛰어난 인재라고 생각되면 과감하게 등용하여 진나라 발전의 초석으로 삼았습니다. 그러나 이런 인사정책이 순탄하게 진행된 것만은 아니었지요. 외부에서 온 객경(客卿)들은 충성도가 약할 수밖에 없으며 위기 상황이 닥치면 적에게 유리한 행동을 할지도 모른다는 국내 귀족들의 논의에 군왕은 마음이 흔들렸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진시황제의 오른팔이었던 이사(李斯)는 축객(逐客)에 반대하는 상소문을 올립니다. 그 유명한 상소문이 바로 《고문진보》에 실린 ‘상진황축객서(上秦皇逐客書)’라는 명문장이지요. 이사는 진시황제에게 축객의 부당성을 고하면서 열린 인사정책과 개방을 통해 강대국의기반을 마련해야 한다며 다음과 같은 주장을 합니다. “태산은 한 줌의 흙이라도 사양하지않습니다. 그래서 태산같이 큰 산이 될 수 있는 것입니다. 황하와 바다는 조그만 물줄기라도 가리지 않습니다. 그래서 깊은 물이 될 수 있는 것입니다. 군왕도 백성들을 차별해서는 안 됩니다. 그래야 군왕의 덕을 천하에 밝힐 수 있는 것입니다.”
태산불사토양(太山不讓土壤) : 태산은 한 줌의 흙이라도 사양하지 않는다.
고능성기재(故能成其大) : 그래서 큰 산이 될 수 있는 것이다.
글로벌 마인드를 지향하면서 출신과 배경을 따지고, 적과 동지를 구분한다면 그 꿈은 영원한 꿈일 수밖에 없습니다. 어느 나라. 어느 조직이든 다양성과 개방성이 결국 경쟁력이며 승부수입니다. 닫고 사는 자가 승리할 수는 없습니다. 여는 자만이 결국 생존에 성공할 것입니다.
“다름을 받아들여야 더욱 크게 됩니다.”
- 박재희의 <3분 고전_인생의 내공이 쌓이는 시간; 변화와 혁신>, 김영사
'전형구 교수의 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학택지사(涸澤之蛇) - 《韓非子》 (0) | 2025.04.09 |
---|---|
선유자익(善游者溺) - 『한비자(韓非子)』 (0) | 2025.04.08 |
불균수지약(不龜手之藥) - 『장자(莊子)』 (0) | 2025.04.03 |
정저지와(井底之蛙) - 『장자(莊子)』 (0) | 2025.04.02 |
맹구지환(猛狗之患) - 『한비자(韓非子)』 (0) | 2025.04.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