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형구 교수의 글

책임지심(責人之心) - 《明心寶鑑》

책임지심(責人之心) - 《明心寶鑑》
“남의 잘못을 꾸짖는 마음”

 

  아무리 어리석은 사람이라도 남의 잘못을 찾는 눈은 정확하다고 합니다. 자신의 잘못이나 결점에는 늘 관대하고 남의 잘못은 정확하게 짚어낸다는 것이지요. 바둑에서도 바둑을 두는 당국자보다 옆에서 지켜보는 방관자의 數가 더 정확하다고 합니다. 그러고 보면 인간은 자신을 보는 눈보다 남을 보는 눈이 더욱 발달되어 있는 것 같습니다.

  《明心寶鑑》에서 남을 꾸짖는 엄격한 마음을 ‘책인지심(責人之心)’이라고 합니다. 반대로 자신의 잘못에 대하여 관대하게 용서하는 마음을 ‘서기지심(恕己之心)’이라고 합니다. 사람들은 남의 잘못을 찾아내고 단죄하는 일에는 매우 엄격하나 자신의 잘못을 용서하는 일에는 관대하지요.

  《明心寶鑑》에서는 나를 용서하는 관대한 마음으로 남의 잘못을 용서하고, 남을 꾸짖는 엄격한 마음으로 나를 꾸짖으라고 합니다. “인수지우(人雖至愚), 비록 어리석은 사람이라도 책인즉명(責人則明), 남을 꾸짖는 마음은 명확하다, 수유총명(雖有聰明), 비록 총명한 사람이라도 서기즉혼(恕己則昏), 자신을 용서하는 데는 어둡고 혼미하다! 책인지심책기(責人之心責己), 남을 꾸짖는 그 명확한 마음으로 나를 꾸짖어라! 서기지심서인(恕己之心恕人), 나를 용서하는 그 관대한 마음으로 남을 용서하라! 그러면 성인의 경지에 이르게 됨이 명확할 것이다.” 
  남의 잘못을 용서하는 데 너그럽고, 나의 잘못을 따질 때는 엄격하라는 것입니다.

  책인지심책기(責人之心責己) : 남을 꾸짖는 마음으로 나를 꾸짖어라!
  서기지심서인(恕己之心恕人) : 나를 용서하는 마음으로 남을 용서하라!

  내가 하면 괜찮고 남이 하면 안 된다는 생각을 버리고, 나에게 관대한 마음으로 남을 용서하고, 남을 꾸짖는 명확한 마음으로 나를 돌아보는 자세가 필요할 때입니다. 責人之心의 엄격함과 恕己之心의 관대함이 서로 자리를 바꾸어 발휘될 때 세상은 더욱 아름다워질 것입니다.

  “남에게 너그럽고 나에게 엄격한 사람이 군자입니다.”

- 박재희의 <3분 고전_인생의 내공이 쌓이는 시간; 역경이 경쟁력이다>, 김영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