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형구 교수의 글

인생삼락(人生三樂) - 『맹자(孟子)』

인생삼락(人生三樂) - 『맹자(孟子)』
“맹자의 행복한 인생론”

 

  행복이라는 것은 거창하거나 큰 것이 아니라 어쩌면 우리가 잊고 살았던 것일 수 있습니다. 아무리 생각해도 인생이 행복하지 않다면 맹자가 말하는 인생의 행복론을 들어 보십시오.   전국시대 모든 제후들이 신하로 삼고 싶었던 맹자가 말하는 행복론은 이렇습니다. “군자에게는 인생의 행복이 세 가지 있다. 천하에 왕 노릇 하는 즐거움도 이 세 가지 행복에 끼지 못한다. 첫째, 부모가 모두 살아계시고 형제들이 아무런 일 없이 건강한 것이다. 둘째, 하늘을 우러러 한 점 부끄럽지 않고, 땅을 내려 보아 남에게 창피하지 않게 사는 것이다. 셋째, 천하의 똑똑한 영재들을 모아 가르치는 것이다.”
 
  맹자의 인생 행복론, 너무 소박하지 않습니까? 세상 모든 사람이 알아주는 천하의 지도자가 되는 것도 인생의 이 세 가지 행복에 들지 못한다는 맹자의 말에 얼마나 동의하십니까? 맹자의 행복론은 정말 단순하고 평범하기까지 합니다. 가정의 평안, 삶의 당당함, 유능한 사람들을 길러내는 것! 어쩌면 우리가 놓치고 있는 작지만 중요한 행복일 겁니다. 맹자는 이 세 가지 인생 행복을 말할 때 두 번씩이나 이 문장을 반복합니다. “천하의 왕이 되는 즐거움도 이 세 가지 즐거움에 끼지 못한다.”

   모두가 높은 곳에 올라가려고 아우성입니다. 권력이 높아지면 행복할 수 있을 것이란 기대 때문이겠지요, 그러나 높은 곳에 올라도 행복은 또 그만큼 멀어질 겁니다. 내 주변 사람들이 평안하고, 좋은 사람과 더불어 당당하게 인생을 살아가는 것이야말로 진정한 행복이라는 맹자의 말이 더욱 의미 있게 다가옵니다.
 
  군자유삼락(君子有三樂) : 군자에게는 세 가지 즐거움이 있다. 
 
  어려울수록 초심으로 돌아가야 한다고 하잖아요? 맹자의 소박한 인생 행복론은 우리가 무엇을 위해 살고 있는지를 돌아보게 합니다.
 
   "사랑하는 사람이 내 옆에 있는 것만으로도 정말 행복합니다."
 
- 박재희의 <3분 고전_인생의 내공이 쌓이는 시간; 마음경영>, 김영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