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진불구명(進不求名) - 《孫子兵法》 진불구명(進不求名) - 《孫子兵法》 “공격을 결정함에 명예를 구하지 마라!” 세상을 살다보면 앞으로 나아가는 결정을 할 때도 있고, 뒤로 물러나는 결정을 할 때도 있습니다. 진퇴에 대한 명확한 판단이 필요합니다. 중요한 것은 무엇을 기준으로 진퇴를 결정하느냐 입니다. 때로는 개인의 안위와 보신을 위해서 진퇴를 결정하기도 하고 윗사람의 명령이나 눈치 때문에 진퇴를 결정하기도 합니다. 《孫子兵法》에는 전장에서 진격과 후퇴를 명령하는 판단 기준을 다음과 같이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진불구명(進不求名), 진격을 명령함에 칭찬과 명예를 구하고자 하지 말라! 퇴불피죄(退不避罪), 후퇴를 명령함에 나중에 문책과 죄를 피하려 하지 말라! 유민시보(惟民是保), 진격과 후퇴의 판단기준은 오로지 병사들의.. 더보기
적인자지리지(敵人自至利之) - 《孫子兵法》 적인자지리지(敵人自至利之) - 《孫子兵法》 “주도권을 쥐려면 이익을 던져라!” 세상에서 가장 힘든 일 중에 하나가 영업이라고 합니다. 상대방을 설득하여 내 물건을 사게 만들거나 내가 원하는 방식으로 거래를 하도록 설득하는 것은 만만치 않은 일입니다. 그런데 상대방에게 내 물건을 사달라고 조르는 것은 영업 전략 차원에서 하수라는 합니다. 상대방이 내 물건을 사려고 쫓아다니게 만드는 것이 진정한 영업의 기술이라는 것이지요. 영업에서 중요한 것은 주도권입니다. 주도권을 쥔 쪽이 가격이나 거래 조건 등 모든 것을 결정하기 때문인데요, 여기서 관건은 어떻게 상대방을 설득하여 내가 원하는 방향으로 마음을 움직이느냐 하는 것입니다. 《孫子兵法》에서는 이해관계로 주도권을 장악하라고 조언합니다. 세상의 모.. 더보기
전박사의 독서경영 - <3不전략> 전박사의 독서경영 - 에서 배우는 독서경영 저자 : 이병주 출판사 : 가디언 ”모두가 안 된다고 한 사움을 승리로 이근“이라는 부제가 있는 이 책은 모두가 안 된다고 한 싸움을 승리로 이끈 세 가지 전략을 다루고 있다. 주인공은 미국, 중국, 프랑스와 같은 강대국을 상대로 믿기지 않은 승리를 이끈 베트남의 ‘보 구엔 지압’ 장군으로 그의 명쾌한 전략을 배울 수 있다. 특히 세 가지 전략은 예상을 뒤엎고 강자를 이긴 놀라운 역사의 현장과, 이러한 요소를 활용해 승리할 수 있는 비법을 제공하고 있다는 점에서 치열한 경제 전쟁터에서 효율적인 무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3불 전략은 강대국과의 싸움에서 승리할 수 있었던 회피 전략, 우회.. 더보기
도천지장법(道天地將法) - 《孫子兵法》 도천지장법(道天地將法) - 《孫子兵法》 “이길 계산 다섯 가지 법칙” 《孫子兵法》에는 전쟁을 시작하기 전에 반드시 분석해야 할 다섯 가지 항목이 나옵니다. 승산을 점치는 다섯 가지 항목으로, 바로 ‘도천지장법(道天地將法)’입니다. 첫째, 道입니다. 목표와 비전을 공유하는 것이지요. 죽어도 같이 죽고 살아도 같이 사는 분위기의 조직을 道가 있는 조직이라고 합니다. 꿈과 비전을 공유하며 한마음 한뜻으로 똘똘 뭉쳐 있는 군대가 이긴다는 의미입니다. 둘째, 天입니다. 외부 환경에 대한 분석을 철저히 하고 있는가를 살펴야 합니다. 외부 환경은 언제나 변화하고 있습니다. 제갈공명은 적벽대전에서 동남풍이란 환경의 변화를 미리 읽어내었습니다. 그리하여 80만 조조의 군대를 2만 5천의 병력으로 물리칠 수 있었던.. 더보기
후안흑심(厚顔黑心) - 《이종오(李宗吾)》 후안흑심(厚顔黑心) - 《이종오(李宗吾)》 “두꺼운 얼굴과 검은 마음으로 성공하라” 중국역사를 보면 영웅호걸이나 최후의 승리를 얻은 인물들의 공통점은 명분과 자존심에 목숨을 건 사람이 아니라, 남보다 더 두꺼운 얼굴과 검은 마음을 가지며 자기가 하고자 했던 일에 몰입했던 사람이었습니다. 한고조 유방은 비굴했지만 천하를 얻었고, 《삼국지》의 조조는 간계에 능했으나 최후의 승리자가 되었습니다. 결국 최후 승리자의 모습은 우리가 상상하듯이 점잖고 명분에 죽고 사는 사람이 아니었다는 것입니다. 이렇게 승리를 위해서 명분과 의리가 아니라 간계와 실리를 강조하는 학문이 후흑학(厚黑學)입니다. 두꺼운 얼굴을 방패로 삼고, 검은 마음을 창으로 삼아 난세에 생존을 도모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이 철학은 청나라 말기.. 더보기
조삼모사(朝三暮四) - 《莊子》 조삼모사(朝三暮四) - 《莊子》 “3과 4의 합은 7” 인생을 마지막으로 결산해 보면 결국 ‘얻은 것과 잃은 것의 합은 같다’고 합니다. 초반에 얻은 것이 많은 사람은 인생후반에 무너지는 경우가 잦고, 한 곳에서 손해가 난 사람은 다른 곳에서 이익을 얻는 수가 많기 때문입니다. 결국 모든 사람의 인생의 합은 제로라도 합니다. 莊子는 이런 것을 ‘朝三暮四’의 고사로 설명하고 있습니다. 아침에 세 개, 저녁에 네 개든 아침에 네 개, 저녁에 세 개든 그 합은 일곱 개로 같다는 《莊子》에 나오는 고사 말입니다. 원숭이 사육사가 원숭이에게 먹이를 주는 이야기에서 나온 고사로, 그 논리 전개는 이렇습니다. “원숭이에게 도토리 먹이를 줄 때 아침에 세 개, 저녁에 네 개 주는 朝三暮四나 아침에 네 개, .. 더보기
차도살인(借刀殺人) - 《三十六計》 차도살인(借刀殺人) - 《三十六計》 “남의 칼을 빌려 상대를 치라!” 목표를 달성하는 데는 여러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내가 직접 나서서 상대방을 제거하여 목표를 달성할 수도 있고, 나의 우방이나 상대방과 모순관계에 있는 사람을 이용하여 우회적으로 상대방을 제압할 수도 있습니다. 어쨌든 유능한 사람은 갈등을 해결하는 과정에서 자신의 역할을 최소한으로 줄인다고 합니다. 이럴 때 자주 등장하는 고사가 ‘차도살인(借刀殺人)’입니다. ‘남의 칼을 빌려서 상대방을 쳐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내가 직접 상대방에게 접근하는 방법을 쓰다 보면 갈등과반목이 더욱 커질 수밖에 없습니다. 현대 국제사회의 외교는 대부분 남의 칼을 빌려 자신의 의도를 실현하는, 차도살인(借刀殺人)을 통해 진행되는 듯합니다. 제삼자를.. 더보기
전박사의 독서경영 - <스파크> 전박사의 독서경영 - 에서 배우는 독서경영 린 휴어드, 존 U.베이콘 공저, 랜덤하우스코리아, 『스파크(The Spark)』는 서크 듀 솔레이가 어떻게 운영되고 어떤 공연을 하는지에 대한 이야기와 함께 항상 창의적으로 살아가려는 단원들과의 만남을 담고 있다. 잊혀져가던 서커스를 세계 최고의 브랜드 20에 선정된 '태양의 서커스'로까지 성장시키기까지 자기 가능성을 찾아 비전을 세우던 그들의 모습을 그려낸 책이다. 이 책은 모두 일곱 개의 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막은 “'합리적인 판단'을 넘어선 '그 무엇' - 새로운 세계로 이어진 7개의 문”이라는 주제로 두 가지 이야기를 만나볼 수 있다. 제2막은 “ '열정의 불꽃' - 서크 듀 솔레이가 존재하는 이유”라는 주제를 다루고 있다. .. 더보기
필사가살(必死可殺) - 《孫子兵法》 필사가살(必死可殺) - 《孫子兵法》“죽기만을 각오하면 죽는다” 조직이 흥하고 망하는 데는 반드시 조짐이 있습니다. 어떤 조직이 흥하고 망하는 지는 병법에서 늘 고민하는 문제입니다. 《孫子兵法》에서는 망하는 군대를 이끄는 리더의 다섯 가지 유형을 이렇게 말합니다. “첫째, 죽기만을 각오하고 싸우면 반드시 죽을 것이다. 둘째, 반대로 오직 살기만을 생각하고 싸우면 포로가 될 것이다. 셋째, 개인적인 분노를 못 이겨 급하게 재촉하면 수모를 당할 수 있다. 넷째, 절개와 고귀함만을 고집하면 치욕을 당할 수 있다. 다섯째, 어느 한 병사에 집착하면 조직을 어려운 상황에 처하게 할 수 있다.” 결국 이성적이고 전략적인 사고에 기초하지 않고 감정에 치우쳐 전쟁을 한다면 그 결말은 자명하다는 것입니다. 전쟁은 국.. 더보기
선승구전(先勝求戰) - 《孫子兵法》 선승구전(先勝求戰) - 《孫子兵法》“전쟁은 승리를 확인하러 들어가는 것이다” 《孫子兵法》에서는 전쟁은 도박이 아니라고 말합니다. 감정이나 분노로 싸움을 해서는 안 된다는 것이지요. 그래서 전쟁 전에 요구되는 것이 승산(勝算)입니다. 이길 계산을 충분히 한 후에 싸워야 한다는 뜻입니다. ‘전쟁은 싸워서 이기러 들어가는 것이 아니다. 승리를 확보한 후에 승리를 확인하러 들어가는 것이다. 승리하는 군대는 먼저 승리를 확보하고 난 후에 전쟁에 임한다.’ 일명 ‘선승구전(先勝求戰)’이라는 《孫子兵法》의 잘 알려진 화두입니다. 단순히 이길 수 있다는 신념이나 주관적인 감만 가지고 승산 없는 전쟁에 나갔다가는 병사들을 잃고 나라를 망하게 할 것이란 엄중한 경고의 메시지가 담겨 있습니다. 《孫子兵法》에서는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