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형구 교수의 글

채근담 47. 행복을 누리는 사람

채근담(菜根譚) 47. 행복을 누리는 사람_전집 47

 

길인 무론작용안상 즉몽매신혼 무비화기(吉人 無論作用安詳 則夢寐神魂 無非和氣).

흉인 무론행사낭려 즉성음소어 혼시살기(凶人 無論行事狼戾 則聲音咲語 渾是殺機).

 

선인(善人)은 평소의 동작이 잔잔함은 말할 것도 없고 잠자는 동안 까지도 화락한 기운을 띠지 않는 것이 없으며, 악인(惡人)은 평소의 행동이 사나운 것은 말할 것도 없고 목소리와 웃으며 하는 말까지 온통 살기를 띠지 않은 것이 없다.

 

* 핵심 주제

악을 모르는 갓난아기의 잠든 모습은 마냥 평화로워 보인다. 사람은 누구나 양심에 가책을 받을 경우 그 정신과 영혼에 타격을 입어 숙면(熱眠)을 이루지 못한다. 그처럼 불안과 초조함 속에서 사는 사람은 제아무리 철심장을 가지고 있다 해도 그 태도와 표정, 특히 안색에 심정이 나타나기 마련이다.

그러기에 맹자(孟子)에도 상대방을 알려면 눈을 보는 것보다 좋은 방법이 없다(存平人者 莫良於眸子)’란 말이 있지 않은가.

남의 눈을 속여 가면서 악한 행동을 할 수 있을는지는 모르겠으나 자기의 양심은 속일수가 없다. 이 얼마나 무서운 일인가.

 

- 채근담, 홍자성 저, 안길환 편역, 고전산책